Elastic Compute Cloud ⇒ C 가 2개라서 EC2 ⇒ Infrastructure as a Service
EC2 는 딱 하나의 서비스는 아니다. 좀 더 확장해서 보면 가상 머신을 빌리면 해당 인스턴스를 Elastic Compute Cloud 인스턴스라고 한다. 데이터를 가상 드라이브 또는 Elastic Block Storage 볼륨에 저장할 수 있고 Elastic Load Balancer 로 로드를 분산시킬 수 있다. 또 Auto Scaling Group 을 통해 서비스를 확장시킬 수 있다. 이렇게 EC2 를 빌린다는 것은 다른 여러가지의 기능들을 포함하게 될 수 있다.
EC2 를 빌릴 때 아래의 내용들을 설정할 수 있다.
- Operating System: Linux, Windows or MacOS
- CPU 성능
- RAM 성능
- 스토리지 크기
- 네트워크 설정
- 방화벽 규칙
실제로 한번 생성해보자. 프리티어는 조건부로 무료사용이 가능하니 프리티어로 테스트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게 좋다.



키페어 로그인은 SSH 로 접근할 때 사용하게 된다. 이때 MacOS, Linux, windows 10 이상이라면 .pem 을 사용가능하지만 Windows 버전이 10 미만이면 .ppk 를 사용하고 PuTTY 와 함께 사용하게 된다.

네트워크는 내 서버로 접속할 수 있게 하는 설정인데 Private 과 Public 형태로 만들 수 있다.

고급 설정에서 인스턴스가 생성될 때 같이 실행해주는 User data 칸이 있다. init 파일이라고도 불리는데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따로 설정해줘야하는 번거로운 작업들을 미리 할 수 있게 해준다.

쭉 내려가면,

이렇게 설정하고 인스턴스를 시작하면 아래의 내용들을 확인 할 수 있고 설정된 public IP 로 접속하면 설정해둔 내용을 확인 할 수도 있다.
#!bin/bash
yum update -y
yum install -y httpd
systemctl start httpd
systemctl enable httpd
echo "<h1>Hello World from $(hostname -f)</h1>" > /var/www/html/index.html


웹 페이지에 나타난 문구는 User Data 에 입력한 정보이다.
'Dev. > Clou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WS: Access Key, CLI and SDK (0) | 2023.11.09 |
---|---|
AWS: IAM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0) | 2023.11.08 |
[Cloud] CD - NCP: Rollback tag (0) | 2023.08.22 |
[Cloud] CD - NCP: Load balancer (0) | 2023.08.22 |
[Cloud]배포 AWS: Secrets Manager (0) | 2023.08.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