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Cloud

[Cloud] 시작 - NCP : Server 띄우기

Ivan'show 2023. 7. 28.
728x90
반응형

root 계정은 더 이상 쓰지 않고 서브 계정으로만 진행한다. 혹시 모를 이슈와 보안 문제로 인해 겹쳐버리면 골치아파져 버리니까...

 

네이버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Compute -> Server 로 가서 설정을 해준다.

2세대로 진행할 거고, 우분투로 만들어 준다.

 

 

VPC (virtual Private Cloud) - 가상 네트워크같은 개념으로 앞으로 가상환경에 생성할 인스턴스들을 알맞에 묶어주는 네트워크 역할이다.

subnet - VPC 안에 있는 네트워크 개념으로 Private - Public 형태로 구분 짓고 사용할 예정이다.

서버 스펙 - 스탠다드로 하자. 크레딧을 아껴야 하니까

요금제 - 앞으로 계속 사용할 예정이니 월 요금제로 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기본 설정으로 되어 있는 대로 만든다. eth0

 

 

이후 스토리지 설정은 기본으로 진행하고 인증키 설정을 한다.

.pem 파일로 페어키가 생성된다.

 

서버가 생성된 이후 접속을 위해 비밀번호를 확인해 둔다.

 

터미널로 이동해서 ssh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해당 서버로 접속해보자.

ssh root@{공인IP주소값}

or

ssh root@{공인IP주소값} -i/{path}/{of}/{pem}.pem

AWS 에서는 뒤에 키에 대한 정보를 붙여야하지만 NCP 는 확인만 하면 되는 것 같다.

 

접속후,

root 계정이니까 다른 계정으로 만들어서 접속하자

adduser {username}
su {username} # 유저 변경한 명령어

 

 

 

 

728x90
반응형

댓글